언론기사

겉바속촉 녹두전의 명가,
광장시장 원조순희네빈대떡

15
  •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밴드
  • URL 복사

광장시장을 고소한 냄새로 채우는 명물

 

 

먹는 재미가 가득한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의 명물 원조순희네빈대떡. 1994년에 처음 문을 연 이래 약 30년간 자리를 지켜온 맛집이다. 창업주 추정애 사장이 광장시장 내 8평짜리 노점에서 불판을 잡기 시작했는데, 시장골목을 채우는 기름 냄새와 저렴한 빈대떡 가격은 숱한 손님들의 발길을 멈춰세웠을 것이다. 점점 높아지는 인기에 시장 입구까지 줄이 이어지기도 했다고. 지금은 동생을 비롯한 가족들이 도우며 가게 운영을 이어가며, 광장시장의 대표 먹거리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돈 없으면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먹지”

 

한 시대를 풍미한 노래 ‘빈대떡신사’의 한 구절이다. 멀쩡하게 양복을 빼입은 신사가 요릿집에서 무전취식을 하다 붙잡혀 문 앞에서 매를 맞으며 듣는 타박, 바로 ‘돈이 없으면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으라’는 말이다. 여기서 나오듯 빈대떡은 서민 음식의 상징이었다. 녹두를 곱게 갈아 채소를 넣고 기름에 지글지글 부쳐내 막걸리 한 잔을 걸칠 수 있는 값싸고 포만감 있는 서민의 한 끼. 바삭한 겉과 고소한 속살이 어우러져, 기름 냄새와 함께 시장통 골목마다 풍겨 나오던 그 향기가 있다. 비 오는 날이면 유독 생각나는 이유도, 뜨거운 기름 위에서 부쳐지는 소리와 고소한 향이 삶의 소소한 위안을 건네기 때문일 것이다.

 

순희네빈대떡도 서민들의 사랑을 통해 성장했다. 대표 메뉴인 녹두 빈대떡은 이 집의 자부심으로, 맷돌에 직접 간 녹두 반죽으로 만드는 전통 방식을 고수한다. 녹두를 잘 불린 뒤 거피를 제거하여 뽀얀 상태로 사용하는데, 쉽게 쉬는 품종인 만큼 품질관리에 아주 신경을 쓴다고. 또 전통 맷돌을 고수하는 이유도 맛에 있는데, 믹서로 갈게되면 부드럽게 갈리는 것 같지만 실제로 부쳐보면 전이 뻣뻣하고 맛이 없다. 밀가루나 전분, 쌀가루 등의 다른 재료 없이 녹두만을 갈아 만들기 때문에, 뻣뻣한 맛을 잡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이집은 맷돌로 갈아내는 방식으로 맛을 잡았다.

 

반죽에는 잘게 썬 대파와 생 숙주, 다진 마늘, 소금, 다진 김치로만 양념한다. 특히 다진 김치는 녹두의 맛을 해칠까 젓갈없이 별도로 담궈 1년을 숙성한 묵은지를 사용한다. 만든 반죽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물이 생겨 맛이 변하는데, 손님이 많아 바로바로 소진되는 것도 이집의 맛이 유지되는 이유다.

 

완성된 반죽을 크게 한 국자 떠서 큰 철판에 기름을 아주 넉넉하게 붓고 튀기듯 부쳐내는데, 일반적인 빈대떡에 비해 크고 두툼한데도 겉을 태우지 않으면서 속까지 속속들이 잘 익혀낸다.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운 불판 앞에서서 수십년을 일한 노하우가 그 완벽한 ‘익힘정도’를 만든다.

 

갓 부쳐낸 빈대떡의 식감은 부드럽기보단 조금 까실까실한데, 씹으면 씹을수록 고소한 특유의 맛이 난다. 반죽에는 숙주나물과 묵은지를 곁들여 씹을 때마다 아삭한 식감까지 더했는데, 이렇게 정성껏 만든 빈대떡은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식감의 조화를 자랑한다. 고기맛이 부족한 손님들을 위해 어느새 ‘고기완자’가 세트처럼 함께하는데, 마치 떡갈비를 먹는 듯한 달큰한 맛이라 남녀노소 호불호 없을 듯한 맛이다.

 

빈대떡과 완자는 기름에 튀기듯 지져 내기 때문에 자칫 느끼할 수 있지만, 함께 제공되는 새콤달콤한 양파절임이 그 느끼함을 잡아주는 훌륭한 짝꿍이다. 잘 익은 빈대떡 한 입에 아삭한 양파절임을 얹어 먹으면, 고소함과 새콤함이 어우러져 질리지 않는 맛을 낸다. 이러한 빈대떡은 막걸리와 최고의 궁합을 이뤄 시장을 찾은 손님들의 발길을 붙들어 놓으며, 맛과 양이 한결같아 한 번도 실망시키지 않는 곳이라는 후기가 이어질 정도로 꾸준한 인기 메뉴다.

 

 

광장 시장 명물 별미들을 한 자리에서

 

 

대표 메뉴인 빈대떡 외에도 육회와 광장시장식 김밥 등 광장시장의 명물 음식들을 함께 맛볼 수 있는 점도 좋다. 육회는 신선한 소고기를 배, 달걀 노른자 등과 버무려 낸 전통 육회로서, 달짝지근하고 담백한 풍미가 특징이다. 고소한 참기름 향이 은은한 육회를 한입 먹고 따끈한 빈대떡을 곁들이면 서로 맛을 살려주는 환상의 조합이 된다. 실제로 이 집의 육회는 적당히 달콤한 양념에 탱탱한 식감이 어우러져 있고, 노른자를 터뜨려 비비면 부드러운 감칠맛이 배가된다는 평을 받는다. 곁들이는 광장시장 김밥은 한입 크기로 말아낸 꼬마김밥으로, 당근과 단무지 등 소박한 속재료를 넣어 담백하게 만든다. 특별해 보이지 않는 재료이지만 겨자 향이 톡 쏘는 소스에 찍어 먹으면 중독적인 맛을 내어, 자꾸만 손이 가는 매력이 있다. 이처럼 빈대떡에 육회와 마약김밥까지 곁들이면 푸짐한 한 상차림이 완성되어, 광장시장 먹자골목의 풍성한 미식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다.

 

 

외국인도 ‘엄지척’하게 만드는 시장의 인심

 

오랜 세월 사랑받아온 만큼, 이곳은 각종 방송 프로그램과 유명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벽면을 가득 채운 사인과 방송 출연 화면이 그 인기를 증명한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하루에 1,000장 넘는 빈대떡이 팔려나간다는 기록도 있었고, 그 명성이 전국을 넘어 해외까지 퍼져 광장시장의 대표 미식 코스로 자리 잡았다. 주말은 물론 평일에도 가게는 금세 만석이 된다. 가게 밖 철판에서 오와열을 맞춰 구워지고 있는 빈대떡, 테이블 사이사이에서 들려오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수다 소리는 시장의 활기와 어우러져 이곳만의 재미있는 풍경을 만든다.

 

특히나 녹두와 식용유 값이 십년 새 몇배씩 오르는 와중에도 이집 빈대떡 가격은 큰 변화 없이 저렴한데, 여기엔 ‘퍼주는 장사를 하겠다’는 사장의 고집 덕분이다. 만원 한 장으로 밥 한 끼 하기도 어려운 시대에, 빈대떡과 막걸리를 함께 주문해도 만 원이 넘지 않는 착한 가격은 서민은 물론, 먼 나라에서 온 여행객들에게도 부담 없이 한국의 맛을 경험하게 한다.

 

두툼한 녹두빈대떡 한 장에는 세월의 깊은 맛과 시장 인심이 함께 배어 있다. 오랜 단골부터 처음 찾은 여행자까지, 모두가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빈대떡에 감탄하며 막걸리 잔을 기울인다. 순희네빈대떡은 오늘도 광장시장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그 고소한 내일을 부쳐내고 있다.

 

▲ 상호: 원조순희네빈대떡 
▲ 주소: 서울 종로구 종로32길 5 
▲ 식신 별등급: 3스타 
▲ 영업시간: 매일 11:00-21:00 
▲ 추천메뉴와 가격: 녹두빈대떡 5000원, 고기완자 3000원, 육회 2만1000원, 광장김밥 3000원 
▲ 식신 ‘먹을땐놔둬정’님의 리뷰: 광장시장 입구에서부터 맛있는 기름 냄새와 여러 음식의 향들이 코를 자극하고 발길을 유인한다. 수 많은 음식점들과 가게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방송출연과 더불어 인기가 많은 순이네 빈대떡집을 다녀와봄~! 빈대떡을 시키면 양파무침과 김치가 기본찬으로 세팅된다. 튀긴거야 뭔들 맛있지만 좀 느끼할 수 있으니 막걸리와 함께하길 추천~!

  • 원조순희네빈대떡

    서울-강북-종로, 파전/모듬전/빈대떡 > 한국음식
    출처 : 식신 컨텐츠팀 제공
    출처 : 식신 컨텐츠팀 제공
    출처 : 식신 컨텐츠팀 제공
    출처 : yamyamggulggul님 인스타그램
    출처 : s._.smee님 인스타그램
    광장시장 내에 위치한 명물 '순희네빈대떡'. 줄이 길게 늘어선 곳으로 가면 빈대떡집을 발견할 수 있는데, 녹두빈대떡, 고기완자 두 가지의 메뉴만으로 승부를 보고 있는 곳입니. 녹두로 만든 고소한 빈대떡과 고기가 들어간 완자를 함께 먹을 수 있는 모듬 메뉴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빈대떡뿐만 아니라 반죽도 구매 가능하므로 참고하면 좋습니다.

    메뉴 정보

    고기빈대떡, 고기완자 1장, 골뱅이 무침, 낙지탕탕이, 녹두빈대떡, 마약김밥, 모듬(녹두빈대떡2+고기완자1), 물만두, 반죽포장, 새우빈대떡, 순희네육회, 육회비빔밥, 육회탕탕이, 홍어무침

    별 인증 히스토리

    맛집 근처 위치

댓글

0
(0/100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