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 수원-팔달구/인계/행궁

수원화성빵 행궁화성박물관점

share_icon

매장 상세 정보는 아래를 확인해주세요

별점
평가중
eye_icon 1,230heart_icon0bookmark_icon0

아직 이 맛집의 사진이 없어요.

직접 다녀온 맛있는 순간을 공유해 주세요!

empty_place_photo
exclamation_mark_icon현재 매장의 운영 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전화 후 방문해 주세요.

매장 소개

수원화성은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문화 유산입니다. 수원화성 (水原華城) 由來는 정조는 1789년(정조 13)에 사도세자의 무덤인 영우원(永祐園)을 수백 년간 수원도호부가 있던 화산(花山)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이라 개명(改名)하고 수원 도읍을 새 장소인 지금의 팔달산 아래로 옮기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수원부로 부르던 고을 명칭을 화성(華城)으로 고쳐 부르도록 하였습니다. 이때부터 줄곧 수원은 화성이란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1895년 지방 관제개편 과정에서 다시 수원군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고 지금은 수원시로 불리고 있습니다. 수원부를 옮기고 정조 17년(1793)부터 화성 축조가 본격적으로 준비되어 이듬해 정월부터 시작해 2년 반 만인 1796년에 완성을 보게 되었습니다. 성벽 전체 길이는 당초 정약용이 생각했던 4㎞보다 늘어난 5.4㎞ 정도이다. 성곽 시설에서도 적대나 누조, 공심돈, 포루 등과 같이 다른 성곽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시설이 많이 도입되었습니다. 화성 축성은 정조의 개혁적 정치노선과 당시 실학을 바탕으로 한 합리적 사상 및 자유시장경제체제가 만들어낸 근대적 생산방식에 의한 건축공사였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화성 축성을 계기로 한국 근대건축이 시작되었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관광특구로 지정된 수원의 지역 특화빵인 "수원성 화성빵" 출시합니다. 수원의 명물을 하나추가하기 위해 일반 밀가루빵이 아닌 타피오카 성분의 빵을 만들어습니다. 수원은 중심도시에 가까워서 농업보다는 서비스업이 대부분입니다. 지역특화빵, 먹거리가 없어서 아쉬움이 적지 않았습니다. 관광도시로서 지역특화를 할수 있는 먹거리, 수원화성과 연계된 먹거리를 수년째 고민하고, 실행 착오을 격으며, 이제서야 출시합니다. 수원시민들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의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립니다. *수원성 화성빵 특성 수원성 화성빵은 식어도 쫄깃하며, 식감이 부드럽고 맛있습니다. 식었을때 드시는 것이 제맛을 느낄수 있습니다. 타피오카(고구마일종의 전분)를 주성분으로 만든 빵이라서 다이어트에도

  • 업종세계음식 > 베이커리/제과점
  • 전화번호031-239-2978
  •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18

이용자 반응 항목

review_kiss_icon️솔직한 리뷰로 이용 경험을 공유해주세요.right_arrow_icon
평가중
smail_icon평가자 0
별점별점별점별점별점

유저들의 평가를 확인해 보세요!

keywords_icon 평가수 0

리뷰

전체 0
최신순평점순

작성된 리뷰

이 매장을 보는 유저들이 같이 본 맛집

1 / 8
다음